신생아 육아 정보(27)
-
백일해 주사, 남편과 가족 모두 맞아야 할까?
백일해 백일해는 보르데텔라 백일해균 (Bordetella pertussis, 그람 음성균)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으로, '흡'하는 소리, 발작,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된 14일 이상의 특징적인 기침 양상을 보입니다. 연령이 어릴수록 사망률이 높아 1세 미만의 사망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현재는 예방 접종으로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였다고 합니다. 인간이 유일한 숙주이며, 직접족인 접촉에 의하여 전파되거나 기침을 할 때 튀어나온 비말을 통하여 호흡기 전파가 이루어집니다. 백일해에 감염되었으나 특징적인 백일해 소견이 없는 성인이 주요 감염원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족 내에 지속적으로 신생아와 접촉을 하게 되는 성인은 꼭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접종 백일해 주사는 한번 맞으면 10년 ..
2023.03.22 -
우리아이를 위한 신생아 육아팁 TOP10
아기의 탄생을 축하드립니다! 부모가 된다는 것은 너무 기쁜일이지만 한편으로는 새로운 책임을 통해 압도당하는 기분이 들수도 있으며, 부모로서 거듭나는 과정은 어떻게 해야할지 확신이 서지 않는 것이 정상입니다. 이를 돕기 위해 노원 아이맘케어에서 신생아 육아 팁 10가지를 모아봤습니다. 1.아기가 잘 때 잠자기 아기는 잠을 많이 자므로 산모도 이에 맞춰서 같이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기가 잘 때 낮잠을 자는 기회를 이용해 재충전을 하여 상쾌함을 유지하세요! 2.수유 일정 따르기 아기는 자주 먹어야 하므로 필요한 영양분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수유 일정을 정해야합니다. 소아과의사, 전문의 등 과 상담하여 아기가 얼마나 자주, 얼마나 먹어야 하는지 결정해하세요. 3.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2023.02.17 -
출산 후 미역국, 많이먹으면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아이를 갓 출산한 산모의 산후조리를 위해 줄 음식하면 첫번째로 떠오르는 음식은 무엇일까요? 바로 미역국입니다. '초학기'에는 바다 포유류인 고래가 새끼를 낳은 뒤 미역을 뜯어먹고 산후 상처를 치유하는 것을 보고 고려 사람들이 갓 아이를 낳은 산모에게 미역을 먹게 한다는 이야기가 쓰여있고, '조선여 속고'에는 출산한 산모가 산후조리 음식으로 첫 밥을 먹기 전, 방의 남서쪽에 밥과 미역국을 세 그릇 놓고 삼신할머니에게 감사의 제사를 지낸 뒤 그 밥과 미역국을 먹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미역은 고려시대부터 산모가 섭취하였고, 조선시대부터는 미역국을 통해 산후조리를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만큼 오래된 역사를 지니고있는 산후조리 음식인 '미역국'은 왜 좋을까요? 미역국이 좋은 이유는 섬유질과 ..
2023.02.14 -
2023 변화된 다자녀 혜택 및 지원에 대해서 알아봐요!
다자녀 가구란 자녀가 3명 이상 둔 가구를 말하는데요. 하지만 저출산이 심해지면서 다자녀 가구가 2023년부터는 2자녀 이상을 둔 가구로 확대 변경되었습니다. 2023년 다자녀 혜택으로는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출산축하금, 의료비 지원, 다자녀 국가장학금, KTX/SRT 철도운임 할인, 의료비 지원 등 많은 혜택과 지원들이 포함되어 있는데요. 지금부터 천천히 알아보겠습니다! 아이돌봄 서비스 부모의 맞벌이 등으로 양육 공백이 발생한 가정의 만 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아이돌보미가 찾아가는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여 부모의 양육부담을 경감하고 시설보육의 사각지대를 보완하고자 만들어진 서비스입니다. 가구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인 가정을 대상이며, 다자녀 가구의 경우 아이돌봄 서비스 선정 기준에서 우선순위가..
2023.01.31 -
출산아기 낳고 우울해지는 산모, 산후우울증 극복하기!
출산을 경험한 산모의 85%가 경험한다고 해서 정신과에서는 흔히 '감기'라고도 부르는 산후우울증입니다. 기분 변화의 폭이 커지거나 사소한 일에도 예민해지는 증세. 불안과 공포에 시달리고 불면증 혹은 지나치게 잠만 자고 싶은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산후우울증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사람에 따라 기억력이 쇠퇴하고 집중력이 저하되기도 하는데, 대부분 2주 이내에 사라집니다. 그러나 증상이 출산 직후 보다 4주 후에 더 심해진다면 산후우울증이 본격화된 것일 수도 있습니다. 적절한 해소법을 찾지 못할 경우 1년 이상 계속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는데요. 산후우울증, 왜 생기며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요? 아기를 낳고 우울해지는 이유 중 하나는 호르몬과 환경이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여성호르몬이 임신 기..
2023.01.26 -
올바른 산후조리 하는법, 산후조리의 기초
출산으로 달라졌던 몸이 임신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시기를 산욕기(출산 후 6주까지)라고 합니다. 이제 막 출산을 마치고 산욕기 생활에 돌입한 엄마들을 위한 산후조리 기본원칙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안전한 환경 만들기 적당한 실내온도는 21~22℃, 습도는 60~65% 정도. 가습기를 틀거나 젖은 옷을 널어놓아 실내 습도를 조절해 주는게 좋습니다. 실내 공기가 탁해지지 않게 자주 환기를 시키고, 환기를 시킬 때 되도록 산모와 신생아는 다른 방에 가 있는게 좋습니다. 산모의 요는 이틀에 한 번은 햇볕에 말려 살균하고, 먼지가 나지 않도록 진공청소기로 청소해줍니다. 출산 후에는 모든 관절이 이완되어 있기 때문에 푹신한 침대에 누워 지내다 보면 자칫 관절에 이상이 생기거나 요통, 허리 디스크, 척추 변형등이 ..
2023.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