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산후도우미(8)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본인부담금 알아보고 노원 산후도우미 신청하세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노원구 보건소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노원형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본인부담금 지원에 대해 알아볼게요! *지원대상: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신청 후 이용 완료한 가구(23년 7월 1일 이후 출산산모 기준) *지원조건: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이용 종료일 기준 영아의 부 또는 모가 노원구 연속거주 6개월 이상이며 영아의 출생등록이 완료된 가구 *지원절차: *신청방법: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이용 종류 후 10일 이내(주말 공휴일 포함) 온라인 또는 방문 ㅅ니청 *주말 공휴일의 경우 온라인 신청 -온라인: 서울시 임신출산 정보센터 http://seoul-agi.seoul.go.kr -방문: 노원구 보건소 4층 모자건강센터( 평일 9시~17시, 점심시간 12~13시 제외) *제출서류 1...
2023.09.15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지원(산후도우미)신청방법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노원구 산후도우미 노원 아이맘케어입니다. 오늘은 노원구 보건소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지원(산후도우미)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상: 산모가 노원구 주민인 모든 출산가정(소득기준초과자도 예외지원으로 지원) *내용: 가사활동지원, 신생아 청결관리 및 수유지원, 산모건강관리지원 등 -산후 도우미가 가정방문하여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 -정부지원금은 기준에 따라 차등 지원되며 본인부담금 발생 *기간: 5일~ 최대25일(출산순위 및 소득기준에 따라 상이 *신청: 출산예정일 40일전 ~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방법: 보건소(모자건강센터/산후지원) 방문, 인터넷 복지로 신청 http://www.bokjiro.go.kr *서류: 산모신분증, 임신확인서(산모수첩)..
2023.09.14 -
2023년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본인부담금 변경 지원안내
안녕하세요 노원 아이맘케어 입니다! 2023년 노원형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본인부담금 지원안내에 관한 내용중 예전과 변경된 내용이 있어 업데이트합니다^^ .-지원대상: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서비스 신청 후 이용 완료한 가구 (23.7.1 이후 출산한 산모 기준) -지원조건: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이용 종료일 기준 영아의 부 또는 모가 노원구 연속거주 6개월 이상이며 노원구 영아 출생등록이 완료된 가구 -지원절차: 1) 지원 신청: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이용 종료 후 10일이내 신청 2) 서류 심사: 제출서류(6종) -산모명의 통장사본 1부, 산모와 출생아 주민등록초본 각 1부, 제공기관 계약서, 제공기록지, 본인부담금 납부 영수증 각1부 3) 비용 지급: 신청일 기준 30일 이내 본인부담금 환..
2023.08.22 -
출산 후 미역국, 많이먹으면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아이를 갓 출산한 산모의 산후조리를 위해 줄 음식하면 첫번째로 떠오르는 음식은 무엇일까요? 바로 미역국입니다. '초학기'에는 바다 포유류인 고래가 새끼를 낳은 뒤 미역을 뜯어먹고 산후 상처를 치유하는 것을 보고 고려 사람들이 갓 아이를 낳은 산모에게 미역을 먹게 한다는 이야기가 쓰여있고, '조선여 속고'에는 출산한 산모가 산후조리 음식으로 첫 밥을 먹기 전, 방의 남서쪽에 밥과 미역국을 세 그릇 놓고 삼신할머니에게 감사의 제사를 지낸 뒤 그 밥과 미역국을 먹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미역은 고려시대부터 산모가 섭취하였고, 조선시대부터는 미역국을 통해 산후조리를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만큼 오래된 역사를 지니고있는 산후조리 음식인 '미역국'은 왜 좋을까요? 미역국이 좋은 이유는 섬유질과 ..
2023.02.14 -
올바른 산후조리 하는법, 산후조리의 기초
출산으로 달라졌던 몸이 임신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시기를 산욕기(출산 후 6주까지)라고 합니다. 이제 막 출산을 마치고 산욕기 생활에 돌입한 엄마들을 위한 산후조리 기본원칙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안전한 환경 만들기 적당한 실내온도는 21~22℃, 습도는 60~65% 정도. 가습기를 틀거나 젖은 옷을 널어놓아 실내 습도를 조절해 주는게 좋습니다. 실내 공기가 탁해지지 않게 자주 환기를 시키고, 환기를 시킬 때 되도록 산모와 신생아는 다른 방에 가 있는게 좋습니다. 산모의 요는 이틀에 한 번은 햇볕에 말려 살균하고, 먼지가 나지 않도록 진공청소기로 청소해줍니다. 출산 후에는 모든 관절이 이완되어 있기 때문에 푹신한 침대에 누워 지내다 보면 자칫 관절에 이상이 생기거나 요통, 허리 디스크, 척추 변형등이 ..
2023.01.17 -
임산부의 임신 초기, 음식 어떻게 먹는게 좋을까?
임신 초기인 2~3개월에는 입덧, 출혈, 빈뇨등 임신에 따른 증상이 나타나면서 임신에 적응해야 하는 시기인데요. 태아가 급격히 성장하는 시기이기도 하므로 영양 섭취는 물론 유산의 위험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어떻게먹을까? 음식은 양보다 질 임산부에게 필요한 하루 열량은 2150kcal 정도(임신하지 않은 일반 여성은 2000kcal)이다. 임신 전과 큰 차이가 있는게 아니므로 음식의 양을 늘려 먹기보다는 양질의 음식을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백질이나 비타민은 꼭 먹되, 지방은 적게먹어서 필요이상으로 열량을 많이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해요. 육류는 단백질이 풍부한 살코기로, 생선은 등푸른 생선이나 뼈째 먹는 생선을 섭취하고, 신선한 제철과일과 야채를 먹는 것이 좋습니다. 입덧을 하더라도 조금씩 먹는다...
2023.01.02